건강관리 어떻게 하고 계신가요? 적당한 운동, 식습관 개선, 충분한 휴식과 수면과 같은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.
특히, 미리미리 몸에 이상은 없는지 확인하는 건강검진을 주기적으로 받는 것도 참 중요한데요.
검진에는 일반병원에서 개인적으로 하는 검진과 나라에서 시행하는 검진 두 종류로 나눠지는데
나라에서 시행하는 건강검진은 개인의 질병 확인뿐 아니라 우리나라 국민의 건강에 대한 중요한 통계자료가 됩니다.
국가 건강검진은 만 20세 이상의 국민을 대상으로 이뤄지며 출생 연도 뒷자리 기준으로 이뤄집니다.
자신이 2023년에 국가 건강검진의 대상인지 간단하게 확인하시고,
검진받을 수 있는 항목은 무엇인지 알아보며 건강 챙기세요:D
2023년 건강검진 대상자 조회 방법
1. 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건강검진 대상자 조회를 클릭합니다.
2. 간편인증이나 공동/금융인증서를 통해 로그인합니다.
3. 조회 결과를 통해 대상 여부를 확인합니다.
* 가까운 검진 기관을 찾을 수도 있으니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*
건강검진 항목
일반 건강검진
1. 공통검사 : 신장, 체중, 허리둘레, 체질량지수, 시력, 청력, 혈압, 구강검진 등 일반적인 항목들로 구성.
2. 성별, 연령별 검사 : 이상 지질혈증, B형간염, 골밀도, 정신건강(우울증)
※ 대상 연령에 따라 검사항목 상이
3. 확진 검사 : 일반 건강검진 결과 고혈압, 당뇨병, 폐결핵 질환 의심자는 2차로 확진 검사를 실시합니다.
일반 건강검진 결과 통보서와 신분증 지참하여 가까운 병원에서 확진 검사 받으시면 됩니다.
※ 진료비와 해당 검사 비용은 1회에 한해 본인 부담 면제가 가능하다고 하니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.
6대 암 검진
1. 위암 : 40세 이상 2년 주기로 위내시경 검사 실시
2. 대장암 : 50세 이상 1년 주기로 분변잠혈검사(대변검사) 실시
3. 간암 : 40세 이상 고위험군 대상 6개월(상/하반기) 주기로 각 1회 실시
◎ 고위험군 기준
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 양성
C형 간염 바이러스 항체 양성
B형 또는 C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만성 간질환 환자
간경변증
4. 유방암 : 40세 이상 여성 2년 주기로 유방 촬영검사 실시
5. 자궁경부암 : 20세 이상 여성 2년 주기로 자궁경부 세포 검사 실시
6. 폐암 : 54세~74세 고위험군 대상 2년 주기로 저선량 흉부 CT 검사 실시
◎ 고위험군 기준
해당연도 전 2년 내 국가건강검진 시 작성하는 문진표로 30갑년 이상 흡연력과 현재 흡연이 확인되는 자
건강보험 금연 치료 사업 시 작성하는 문진표로 흡연력이 30갑년 이상으로 확인되는 자
흡연력이 30갑년 이상으로 확인되어 국가 폐암 검진을 받았던 자로 검진 후 금연 15년 이내, 74세까지
※ 갑년이란? 1일 흡연량(1갑 : 20개비 기준) X 흡연 기간(년)
'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신체 부위별 필요한 영양제 완벽 정리 (0) | 2023.03.07 |
---|---|
[꿀팁] 똑똑하게 건강보험료 환급 조회 및 신청하기 (0) | 2023.03.07 |
[정부지원금] 농축산물 최대 30% 할인받기 (0) | 2023.03.06 |
연비운전하는 꿀팁으로 기름값 절약하세요 (0) | 2023.03.04 |
롯데 로카 모빌리티 '반띵 카드' 50% 할인 혜택 (0) | 2023.02.26 |
댓글